본문 바로가기

백준 코딩 테스트

백준 -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

728x90

출처:11724번: 연결 요소의 개수 (acmicpc.net)

 

11724번: 연결 요소의 개수

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 0 ≤ M ≤ N×(N-1)/2)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어진다. (1 ≤ u, v ≤ N, u ≠ v) 같은 간선은 한 번만 주

www.acmicpc.net

연결 요소의 개수 성공 분류

시간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은 사람 정답 비율

3 초 512 MB 38276 18493 12057 45.469%

문제

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, 연결 요소 (Connected Component)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 0 ≤ M ≤ N×(N-1)/2)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어진다. (1 ≤ u, v ≤ N, u ≠ v) 같은 간선은 한 번만 주어진다.

출력

첫째 줄에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

[ 문제 설명 ]

 

연결 요소의 개수라는 건 연결된 집합. 즉 뭉텅이의 개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그러면 문제는 일단 1260번 DFS, BFS 중 하나의 그래프 이론을 가져와서, 탐색을 하는데, 탐색을 하면서 그 뭉텅이를 개수를 세주는 것이 중요하죠.

 

그림으로 설명을 드립니다.

 

그림 1. 연결 요소 개수 문제 설명

1260번 문제와는 다르게, 연결 요소의 개수를 세면서, 탐색을 하는 코딩입니다.

코드를 보면 좀 더 이해가 가실 겁니다.

 


[ 코드 ]

 

import sys


def DFS(num):
    # print(num, end=' ')  # 1260과 다른 부분
    visited[num] = 1  
    for i in range(N):
        if visited[i] == 0 and connectList[num][i] == 1:
            DFS(i)




N, M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  # 1260과 다른 부분  ( v 시작지점이 필요 없기 때문)

connectList = [[0] * N for _ in range(N)]  
visited = [0 for _ in range(N)]  




for i in range(M):
    a, b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
 
    connectList[a - 1][b - 1] = 1  # 0부터 탐색하기 위하여
    connectList[b - 1][a - 1] = 1  # 마찬가지




cnt = 0

# 1260과 다른 부분, 탐색과 카운트를 병행
for i in range(N): 
    if visited[i] == 0:
        DFS(i) 
        cnt += 1

print(cnt)

 

그림과 코드를 병행해서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.

 


후기

 

DFS, BFS 그래프 이론을 이용한 첫 문제를 풀어봤는데 상당히 재밌습니다.

728x90